1.스쿼트를 해야 하는 이유
일반적으로 남자 같은 경우 하체의 근육을 키우기 위해 스쿼트를 많이 실시 하게 됩니다. 하지만 여자들은
다리가 굵어지는 것을 싫어하여 스쿼트 운동을 제외 하며 운동을 진행 합니다.
운동 하는 이유 중 가장 많은 것중 하나가 다이어트 인데 다이어트라는 것은 쉽게 말해서 먹은 것 이상으로
칼로리를 소비해야 다이어트가 이루어 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칼로리를 많이 소비 하기 위해서는 큰 근육을 사용 하여 운동을 진행 하여야 하며 작은 근육만을 사용해서는 다이어트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인체의 약 70% 근육은 하체에 집중 되어 있습니다. 또한 많은 여성 분들이 가장 발달 시키고 싶어 하는 근육이 바로 엉덩이 근육인 둔근 입니다. 하체의 모든 근육을 사용 할 수 있는 운동이 바로 스쿼트 이기 때문에 스쿼트 없이는 발달 된 엉덩이 근육과 탄력 넘치는 몸매를 만들기 어렵습니다. 인체의 근육 70%가 하체에 집중 되어 있는 만큼 다이어트 시에는 많은 근육을 사용하여야 하기에 스쿼트를 진행 하여야 합니다. 스쿼트 시 허벅지 밑 부분이 발달 되는 것에 두려움이 있어 기피 하는 현상이 발생 하는데 이 같은 경우는 자세적인 측면과 무게 중심이 앞으로 집중되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밑에 설명 드릴 예정이며 요약 하면 다이어트 시에는 많은 근육을 사용해야 하며 많은 근육을 사용하는 운동 중 가장 대표적인 운동은 바로 스쿼트 입니다.
2.스쿼트시 사용 되는 근육
스쿼트시 사용 되는 근육은 대표적으로 대퇴사두근(Quadriceps)입니다. 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 대퇴직근이며
외측광근은 broadly in proximal femur에서 시작하여 Patellar tendon 으로 이어 집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무릎 관절을 펼 때 사용됩니다.
내측광근은 넓다리 뼈 안쪽(medial side of femur)에 붙어서 무릎인대(Patellar tendon) 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외측광근과 마찬가지로 주요 기능은 무릎 관절을 펼 때 사용됩니다.
중간광근은 넓다리 뼈 앞 가쪽(anterolateral side of femur)에서 시작하여 무릎인대(Patellar tendon)으로 이어져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주요 기능은 무릎 관절을 펼 때 사용 됩니다.
대퇴직근은 아래앞 엉덩뼈가시(anterior inferior iliac spin,ALLS) 절구의 위쪽 모서리(Superior to acetabulum)에서 시작하여 무릎인대(Patellar tendon)까지 이어져 있습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무릎관절 펼 때 사용되며 엉덩관절 굽힘근으로써 엉덩관절을 굽힐 때 사용 됩니다.
뒤쪽 근육으로는 대표적으로 사용 되는 근육이 바로 대둔근(Gluteus Maximus) 입니다. 대둔근은 골반 후면에 있는
외관골근의 하나이며, 둔근중에서 가장 큽니다. 대둔근은 Posterio of iliac crestm dorsal of sacrum(장골, 장골 상둔선, 천골 후면) 에서 시작하여 대퇴골 둔근 조면, 장경인대로 이어져 있습니다.
주요 기능으로는 엉덩관절의 신전, 엉덩관절의 외회전 할 경우 사용 됩니다. 대둔근은 몸의 안정성을 담당 하는 것중 가장 큰 근육이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합니다.
3.스쿼트 운동 시 주의해야 할 사항
처음 스쿼트를 하는 사람이라면 처음엔 무릎보다 아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며, 무릎에 통증이 발생 될 수 있기에 최대한 발끝이 무릎을 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하지만 동양인 같은 경우 대퇴골이 긴 경우가 많기에 무게 중심이 뒤로 한 상태라면 오히려 발 끝이 무릎을 넘어 가는 것이 허리를 보호 하기 위해선 더 좋은 동작이 될 수 도 있습니다.
위에 이야기 한 것 처럼 여성 분들이라면 무게 중심이 뒤로 오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발바닥 기준 무게중심이 발 앞쪽으로 될 경우 무릎 주변 근육만 활성화 되어 허벅지 밑 쪽 부분이 발달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운동 목적 자체가 엉덩이 근육을 키우기 위해서 이기 때문에 무게 중심을 발 뒤꿈치 쪽인 뒤로 설정하여 진행 하여야 엉덩이 근육 까지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스쿼트 동작시 아래로 내려가거나 올라 올 경우 절대로 무릎이 발끝 안쪽으로 모이는 현상이 발생 되어선 안됩니다. 스쿼트 동작시 무릎이 안쪽으로 모일 경우 대퇴직근이 고관절 부분인 AS,IS 부분에 부딪힐 수 있으며 무릎에 위치해 있는 반월판과 십자인대에 타격을 주어 부상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스쿼트가 익숙하지 않을 경우 맨몸으로 진행 하여야 하며, 바벨이나 무게를 들고 할 경우 하체 자세 뿐 아니라 상체로 버틸 수 있는 코어 운동 부터 진행하여 신체를 안정하고 튼튼하게 만든 후 진행 하여야 합니다. 사람이 100명이 있으면 운동 동작 또한 100가지가 있습니다. 내몸에 맞게 운동 하는 것이 중요하며, 운동 전 관련 전문가와 함께 시작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상식과 운동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루타민의 성분과 효능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2.06.17 |
---|---|
다양한 지방의 종류에 대해서 알려드립니다. (0) | 2022.06.16 |
수용성과 지용성 비타민의 종류와 효능 (0) | 2022.06.15 |
가공방법에 다른 단백질 보충제의 성분 (0) | 2022.06.14 |
BCAA의 구조 및 성분과 효능, 그리고 섭취방법 (0) | 2022.06.14 |
댓글